취업을 준비하거나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청년이라면, ‘청년내일채움공제’ 들어봤을 거야. 이름만 들으면 뭔가 딱딱한 제도처럼 느껴지지만, 알고 보면 엄청난 혜택이 숨어있는 제도야.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에게 2년 동안 최대 1,600만 원을 모아주는 정책인데, 이건 진짜 놓치면 손해겠지!
청년내일채움공제, 도대체 뭐야?
간단하게 말하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도와주는 제도야.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이 중소·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하면 참여할 수 있고, 본인이 2년간 30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와 기업이 나머지 금액을 더해 총 1,600만 원을 만들어줘.
이게 무슨 적금이냐고? 아니야, 훨씬 좋아! 이건 복리도 없고 리스크도 없는, 거의 ‘보장형 혜택’이야.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만 19~34세 청년 (군필자는 병역기간만큼 연장 가능)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12개월 이하 (단, 3개월 미만 단기근무는 제외 가능)
중소·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신규 입사한 경우
다만,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은 해당 안 돼. 그래서 ‘작지만 성장 가능성 있는 기업’에 도전하는 사람들에게 더 유리하지.
어떻게 신청해?
워크넷 또는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기업도 같이 신청해야 하니까, 회사 인사팀이랑 미리 이야기하기
서류 제출 후, 정식 근무 시작 6개월 이내에 신청 완료해야 함
그럼, 진짜 1,600만 원 받을 수 있어?
응! 2년 동안 본인이 300만 원(매달 약 12.5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1,300만 원,
기업이 300만 원을 더해줘. 총 1,900만 원이 모이고, 그중 1,600만 원은 본인이 받게 돼.
중도 퇴사하면 어떻게 되냐고? 아쉽게도 그동안 낸 돈은 일부만 돌려받을 수 있어. 그래서 2년 동안 열심히 일하면서 혜택까지 챙기는 게 최고야.
2025년부터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지원 금액과 조건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어.
지원 기간: 2년
본인 납입액: 300만 원 (매월 약 12.5만 원)
정부 지원금: 1,300만 원
기업 지원금: 300만 원
총 지원 금액: 최대 1,900만 원
이렇게 본인이 납입한 300만 원에 대해 정부와 기업이 각각 1,300만 원과 30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하여, 총 1,900만 원을 받을 수 있지.
왜 이걸 꼭 해야 하냐고?
사회 초년생이 목돈 마련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제도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심리적 부담 완화
재직기간 2년의 이력도 플러스 요인
취업만 해도 힘든 요즘,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진짜 고마운 제도야. 막막한 사회 초년생 시기에 1,600만 원이라는 큰 금액이 생긴다면, 미래 계획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되겠지? 중소기업 취업을 고민 중이라면, 이 제도도 꼭 같이 알아보고 활용해봐. ^^
'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이지급명세서, 어렵지 않아요! (2025년 기준) (0) | 2025.04.14 |
---|---|
2025년 청년 창업 지원금,창업 3년 이내라면 최대 1억 원 지원받자 (0) | 2025.04.12 |
디지털 전환 지원금,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필수 지원 프로그램 (0) | 2025.04.10 |
2025년도 출산 지원금 신청하러 가기 (0) | 2025.04.09 |
2025 농식품바우처 지원사업 신청방법 (0) | 2025.03.16 |